ORGANIZED MESS

포뮬러원을 좋아하면서, 이것저것 공부도 하고, 일상도 공유하는 다소 정체성의 혼란이 내재되어있는 그러한 블로그입니다.

반응형

Formula 1

[Formula 1] #01 - 공기역학, 에어로다이나믹스(Aerodynamics) (1)

Formula 1(이하 F1)을 챙겨본지 어느덧 4년차. 경기 자체도 재밌지만 화려한 F1 머신(machine)을 보는 맛도 쏠쏠하다. 이러한 멋진 차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와 관련된 물리적이고도 기술적이고도 학술적인 내용을 알면 F1이 더더욱 재밌다는 사실을 알았다. 예전부터 알고 있던 Youbute 채널인 'Chain Bear'에 F1 관련된 기술적인 영상이 많이 있다. 일단 영어로 되어 있기도 하고, 아무리 내가 영어로 된 영상을 자막을 키고 해석해가며 봤다고 하더라도 3일 있으면 내용이 기억이 나질 않더라. 그리하여 심심할 때 Chain Bear의 영상 내용을 정리하고, 거기에 살을 덧붙여 멋지지는 않지만 소박한 포스팅을 조금씩 작성해보려 한다. 대망의 첫번째 포스팅은 'F1 공기역학 (Aero..

Formula 1 Tech. Stuff 2021.09.06 9

[Formula 1] #04 - F1 브레이킹 시스템(Braking System)에 대해

F1 차량의 브레이킹의 성능은 '100km/h에서 풀-브레이킹(Full-Braking)을 하면 15m만에 정지한다'라는 한 문장으로 정리될 듯하다. 평균 로드카의 무려 4분의 1의 거리 만에 정지하는 것이다. 게다가 300km/h에서 4초 안에 정지가 가능하다. 이 때 중력 가속도는 무려 6G이다. 엄청난 속도와 쉽지 않은 터프한 코너를 자랑하는 F1 경기에서 F1 머신은 속도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드라이버가 멈추고 싶을 때 원하는대로 순식간에 멈출 수 있는 가히 엄청난 브레이킹 성능을 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경기의 기록의 문제 뿐만 아니라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F1 드라이버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때 차가 즉각적으로 반응할 거라는 것을 잘 알고 있어야 하며,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어떠한..

Formula 1 Tech. Stuff 2021.09.06 0

[Formula 1] #07 - F1 차량에서 무게 배분(Weight Distribution)의 중요성

F1에서 차량의 무게는 굉장히 중요하다. 무게가 가벼울수록 다운포스나 그립 등 다방면에서 영향을 미치겠지만 무엇보다도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F1에서는 최대한 무게를 줄이기 위해 탄소 섬유(Carbon Fiber)를 사용하고 있다. F1에서 말하는 '무게(Weight)'는 결국 차량의 무게와 드라이버의 무게이다. 이러한 무게에 대한 규정이 F1 2019 시즌으로 넘어오면서 다소 변경됐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한 규정을 다루면서 동시에 F1 차량의 무게 배분(Weight Distribution)이 어떤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목차] - 차량 무게 규정의 변화 - 드라이버가 가벼울수록 좋다? - 밸러스트의 중요성 - 무게 배분이 미치는 영향 #1 타..

Formula 1 Tech. Stuff 2021.09.19 4

[Formula 1] #09 - F1 차량의 서스펜션(Suspension)에 대한 이해 (1) : 서스펜션 기초 (Fundamentals of Suspension)

지난 번 'F1 차량에서 무게 배분(Weight Distribution)의 중요성'을 주제로 한 포스팅에서 잠깐 서스펜션(Suspension)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2021.09.19 - [가벼운 공학 과학 IT/Formula 1 Tech. Stuff] - [Formula 1] #07 - F1 차량에서 무게 배분(Weight Distribution)의 중요성 [Formula 1] #07 - F1 차량에서 무게 배분(Weight Distribution)의 중요성 F1에서 차량의 무게는 굉장히 중요하다. 무게가 가벼울수록 다운포스나 그립 등 다방면에서 영향을 미치겠지만 무엇보다도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F1에서는 최대한 무게 feeelight.tistory.com 위 포스팅에서는..

Formula 1 Tech. Stuff 2021.09.30 10

[Formula 1] #16 - F1의 피트스탑을 파헤쳐보자 : 피트스탑 해부학 (The Anatomy of the F1 Pitstop)

F1의 피트스탑(pit-stop)은 거의 2초 내외로 끝난다. F1 경기 중에 빼놓을 수 없는 진귀한 장면이 바로 피트스탑이다. F1의 피트스탑은 여타 다른 모터 스포츠보다 많은 피트스탑 크루를 가진다. 이렇게 약 20명 정도 되는 피트 크루원들은 정말 한 몸처럼 움직인다. 그러나 굉장히 세밀하게 조직되고 계획되는 이 피트스탑은 조그마한 실수로도 큰 재앙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1의 피트스탑 크루원들은 어떤 사람들로 구성되는지, 피트스탑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다루어보고자 한다. [목차] - F1 피트스탑 크루 구성 - F1 피트스탑 과정 #1. 마크에 정지! : Hit the mark #2. 차를 들어올리자 : Raise the car #3. 바퀴를 빼내자 : Loosen t..

Formula 1 Tech. Stuff 2021.11.11 0

[Formula 1] #42 - F1 차량의 시동을 걸어보자!

들어가며 가끔 문득 이런 생각이 든다.F1 차량은어떻게 시동을 걸까? 일반 차량처럼 특별한 키(Key)가 있나? 아니면 키 없이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한 시동 버튼이 있나?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 사실 굉장히 기술적으로 복잡한 방법을 통해 F1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있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간단히 말하면, 엔진과 오일의 온도를 특정 온도까지 올리고 난 후 엔진의 각종 파츠에 윤활유를 바른 후 크랭킹(Cranking) 작업까지 마치고 최종적으로 온도 외에 모든 다른 요구사항들이 만족되었을 때 비로소 시동을 걸 수 있다. 이렇게만 들어서는 너무 '어렵다'. 왜 이런 복잡한 방법이 필요할까 생각이 들지만, 자세한 내용은 본론에서 살펴보기로하자. 이 포스팅을 읽고 나면 F1 차량의 시동 거는..

Formula 1 Tech. Stuff 2023.02.26 6

Popular

[Formula 1] #27 - Virtual Safety Car(VSC, 버츄얼 세이프티카)에 대해

F1 경기를 시청하다보면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세이프티 카(Safety Car)가 등장해 차량의 속도를 늦춰 트랙을 안전하게 만들어준다. 때로는 큰 사고가 나 경기를 지속할 수 없을 때는 레드 플래그(Red Flag)가 발동되기도 한다. 하지만 애매하면서(?) 경미한 사고가 발생하는 때에는 종종 버추얼 세이프티 카(Vritual Safety Car) 상황이 발동된다. 눈 씻고 찾아봐도 트랙에 세이프티 카는 없고, 차량들도 그냥 알아서 잘 달리고 있는 것 같으면서도 느리게 달리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기존 세이프티 카 상황과는 뭔가 많이 다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버추얼 세이프티 카가 무엇인지 그리고 버추얼 세이프티 카와 관련된 규정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렜쯔으고. 버츄얼 세이프티 카(Vi..

Formula 1 Tech. Stuff 2022.05.21 0

[Formula 1] #10 - 슬립스트림(Slipstream)과 더티에어(Dirty Air)

들어가며 F1 중계를 보다보면 슬립스트림(Slipstream)과 더티에어(Dirty Air)라는 단어가 많이 언급된다. '뒷차량이 슬립스트림을 타고 굉장한 속도로 앞차와 간격을 좁히고 있네요!' '뒷차가 앞차로 인한 더티에어로 인해 추월하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뒷차가 앞차에 붙으면 슬립스트림으로 속력이 빨라지기도 하고, 더티에어로 인해 속력이 느려지기도 한다. 이때 궁금증이 생긴다. 뒷차가 슬립스트림을 탈 지, 더티에어를 맞을 지는 어떻게 결정되는 것일까? 거리가 가까우면 슬립스트림이고 거리가 멀면 더티에어인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슬립스트림(Slipstream)과 더티에어(Dirty Air)의 애매함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보려고 한다. 렛츠-고. [목차] - 공기는 물이다?! - 항력(Drag) : ..

Formula 1 Tech. Stuff 2021.10.03 2

[Formula 1] #16 - F1의 피트스탑을 파헤쳐보자 : 피트스탑 해부학 (The Anatomy of the F1 Pitstop)

F1의 피트스탑(pit-stop)은 거의 2초 내외로 끝난다. F1 경기 중에 빼놓을 수 없는 진귀한 장면이 바로 피트스탑이다. F1의 피트스탑은 여타 다른 모터 스포츠보다 많은 피트스탑 크루를 가진다. 이렇게 약 20명 정도 되는 피트 크루원들은 정말 한 몸처럼 움직인다. 그러나 굉장히 세밀하게 조직되고 계획되는 이 피트스탑은 조그마한 실수로도 큰 재앙을 가져다주기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1의 피트스탑 크루원들은 어떤 사람들로 구성되는지, 피트스탑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다루어보고자 한다. [목차] - F1 피트스탑 크루 구성 - F1 피트스탑 과정 #1. 마크에 정지! : Hit the mark #2. 차를 들어올리자 : Raise the car #3. 바퀴를 빼내자 : Loosen t..

Formula 1 Tech. Stuff 2021.11.11 0

[Formula 1] #01 - 공기역학, 에어로다이나믹스(Aerodynamics) (1)

Formula 1(이하 F1)을 챙겨본지 어느덧 4년차. 경기 자체도 재밌지만 화려한 F1 머신(machine)을 보는 맛도 쏠쏠하다. 이러한 멋진 차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이와 관련된 물리적이고도 기술적이고도 학술적인 내용을 알면 F1이 더더욱 재밌다는 사실을 알았다. 예전부터 알고 있던 Youbute 채널인 'Chain Bear'에 F1 관련된 기술적인 영상이 많이 있다. 일단 영어로 되어 있기도 하고, 아무리 내가 영어로 된 영상을 자막을 키고 해석해가며 봤다고 하더라도 3일 있으면 내용이 기억이 나질 않더라. 그리하여 심심할 때 Chain Bear의 영상 내용을 정리하고, 거기에 살을 덧붙여 멋지지는 않지만 소박한 포스팅을 조금씩 작성해보려 한다. 대망의 첫번째 포스팅은 'F1 공기역학 (Aero..

Formula 1 Tech. Stuff 2021.09.06 9

[Formula 1] #43 - F1 2026년 새로운 규정에 대하여 (X/Z mode, MGU-K, 신생 팀의 등장)

들어가며때는 바야흐로 2022년. F1은 차량의 공기역학과 안전성 그리고 경주 전략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규정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레이스는 더 치열하고, 각 팀들의 기술적 한계가 더욱 부각되는 등 전혀 새로운 차원의 경기가 펼쳐졌었다. 특히 그라운드 이펙트(Ground Effect)의 재도입으로 인해, 레드불(Red Bull) 팀에 컨스트럭터 챔피언 자리를 내어줬던 메르세데스(Mercedes) 팀이 폴포싱(Porpoising) 이슈로 골머리 앓던 그 시절이 아직도 눈앞에 생생하다. 이러던 와중 FIA는 불과 4년 만에 규정을 대폭 변경키로 결정했다. FIA 내놓은 새로운 규정은 기존 F1 차량을 더욱 민첩한 차량으로 탈바꿈하여 역동적인 레이스를 가능하게 하며, 전기화와 친환경 기술을 채택하는 ..

Formula 1 Tech. Stuff 2025.08.17 18
반응형